티스토리 뷰

잘못된 식습관과 스트레스로 종종 위염을 겪곤 하는데요. 위염과 달리 역류성 식도염은 어떤 증상이 있고 치료방법과 피해야 할 음식,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증상

역류성 식도염은 위의 내용물 또는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발생하는 식도의 염증입니다. 가슴이 쓰리고 답답하며 목에 이물질이 걸린듯한 느낌이 들고 속쓰림과 신트림이 나면서 목이 따가울 경우 바로 병원에 가야 됩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노화와 안좋은 습관들이 몇년간 누적되고 반복되다가 어느 순간 발현이 되기 때문에 쉽게 낫지 않고 장기간 치료를 받을수 있습니다 .

 

 

 

2. 원인

맵고 짠 음식, 기름이 많거나 단 음식 등 자극적인 음식을 자주 먹거나 야식하는 습관, 음주와 흡연, 스트레스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위식도 조절 기능의 약화되어 위산 역류가 발생해 나타납니다.

 

 

3. 검사방법

위내시경 검사를 통해 진단하며 내시경검사는 식도염 뿐 아니라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등 진단이 가능합니다. 

 

4. 예방법

역류성 식도염의 경우 생활습관을 고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① 맵고 짜고 자극적인 음식을 피합니다

② 야식을 끊습니다. 잠자기 3시간 전 공복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③ 탄산과 이산화탄소는 위벽을 자극하면서 위압을 높여 역류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므로 탄산음료를 끊습니다. 

④ 술과 담배를 줄이거나 끊습니다

⑤ 기름진 음식, 커피, 과식하는 습관 특히 탄수화물과 면류를 많이 먹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⑥ 급하게 먹거나 먹고 눕는 습관, 불규칙한 식습관을 고쳐야 됩니다. 

윗몸일으키기, 복대, 벨트는 배에 압력이 가해져서 위산 역류를 하게 하므로 역류성 식도염이 있는 경우 이 3가지는 피해야 합니다. 

 

 

5. 치료약

역류성 식도염의 경우 위산분비를 억제하는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를 처방받는데요.

PPI 종류로는 넥시움, 프리바시드, 라베원, 파리에트, 에소메프라졸 등이 있습니다. 속쓰림 증상이 완화되는 효과는 있지만 장기간 복용시 부작용이 있을수 있으니 약에 의존하지 말고 생활습관을 고쳐야 됩니다. 

6. 역류성 심도염에 도움이 되는 영양제

위와 장에 유해균이 증식함에 따라 가스가 차고 복부 팽만감이 느껴지며 소화력 저하되면서 해독을 담당하는 간에 부담이 갈수 있는데요

위와 장, 간에 도움이 되는 영양제를 알려드립니다. 

 

- 간에 좋은 영양제 : 밀크씨슬

- 위에 좋은 영양제 : 위장 점막 재생에 도움이 되는 글루타민 

- 장에 좋은 영양제 : 장내 환경 개선에 도움을 주는 유산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