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겨울이 되면 찬바람이 불고 실내 난방을 하면서 공기가 건조해지면서 코가 건조해지게 됩니다. 코가 건조해지면 코딱지가 생기고 심하면 코가 막혀서 숨쉬기가 힘들어지는데요.
겨울만 되면 코막힘이 심해지는 이유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코건조증과 코막힘
코 건조증 증상은 코가 건조하여 발생하는 이비인후과 질환입니다.
코막힘은 두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는데 점막이 부어서 코가 좁아지면서 막히는 경우가 있고 건조해지면서 점막의 습도와 온도를 조절해주는 기능이 떨어지면서 막히는 경우가 있는데 겨울철에는 이 두가지가 동시에 발생합니다.
겨울은 찬바람이 불어 환경자체가 건조한데 히터나 난방 기구 때문에 공기가 더 건조해지면서 코안도 더 건조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코 건조증 증상이 생기면 코속이 바싹 마르게 되고 건조한 느낌과 함께 가렵거나 열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 여기에 마른 코딱지도 잘 생기는데 이때 코를 비비거나 후비는 행동을 하게 되면 코속의 혈관이 손상되어 코피가 날수도 있습니다.
주요 증상
코 건조증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코가 건조하고 마르는 증상을 보이며 숨을 쉴때 콧바람이 뜨겁다고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코 가려움, 잦은 코딱지 생김, 악취, 후각 감퇴(냄새를 잘 못맡음) 같은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코안에 이상한 감각이 느껴지거나 답답함이 느껴져 코를 자주 파게 될 수도 있는데 손으로 인해 코안에 상처가 나면서 코피가 날 수도 있고 상처로 인해 염증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호흡할 때 공기의 마찰로 인해 코안이 따겁거나 통증이 느껴지거나 쓰라려 불편할 수도 있습니다.
코 건조증을 방치하면
코 건조증 증상이 심해지게 되면 코로 호흡을 하지 못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입으로 숨을 쉬게 됩니다. 그리고 이런 이유로 코골이, 편도선염, 인후염등과 같은 이비인후과 질환의 원인이 됩니다.
코로 호흡을 하지 못하게 되면 숙면을 취할수가 없게 되고 수면부족으로 인하여 기면의 원인이 될 수 있고 무기력, 능률저하, 체중증가 등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특히 어린이의 경우 입으로 호흡을 오래하게 되면 성장하면서 아래턱이 돌출되거나 얼굴 비대칭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겨울철 코막힘 관리팁
겨울은 찬바람과 실내 난방으로 코막힘이 자주 발생하는데 코막힘을 관리하기 위한 팁을 알려드립니다.
1 | 코세척 하지 않기 | 코가 답답하다고 물로 자주 씻어내면 순간엔 시원한거 같지만 건조함이 더 심해질수 있습니다 비강세척은 건조한 경우에 안하는게 더 좋습니다 |
2 | 바세린 바르기 | 바세린은 겨울철에 널리 이용되는 보습제입니다. 코가 건조할때 바세린을 코 입구에 발라주면 도움이 됩니다. |
3 | 비염고 수시로 바르기 | 비염고라는 한약으로 만든 연고를 수시로 바르면 건조함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
4 | 가습기 사용하기 | 실내에서 가습기를 틀어놔서 공기를 적정한 습도로 유지해 주는게 도움이 됩니다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리얼과 요구르트, 건강식인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초가공식품 (0) | 2023.11.22 |
---|---|
고혈압약 종류와 부작용, 주의해야 할 음식 (0) | 2023.07.15 |
'침묵의 살인자' 고혈압 진단기준과 합병증 (0) | 2023.07.15 |
전국민 운동 지원금 최대 5만원 신청방법 (0) | 2023.05.16 |
어지럼증의 종류, 증상에 따른 치료방법은? (0) | 2023.05.07 |